본문 바로가기

책 이야기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21-02)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 빌 게이츠

 

코로나 탓일까? 문득 세상이 갑자기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들에 대해 호응하기 시작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내연기관 자동차가 갑자기 원죄를 지니고 태어난 교통수단이 되었고, 수년내에는 더이상 oil로 움직이는 '탈것'들이 사라질것 같은, 그래서 내가 몸담고 있는 Oil & Gas 산업의 사양화가 지금 당장 눈 앞에 닥쳐온 것만 같은 분위기에 이 책을 고르게 되었다.

환경은 당연히 우리 모두에게 중요하다.

빌게이츠는 기후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는 매년 발생되는 510억톤의 탄소를 '제로화'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우리는 화석연료 사용을 탈피해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우리는 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것일까? 아직까지는 석유 만큼 효율이 좋은 것이 없기 때문이다. 에너지원 자체의 효율 뿐만 아니라, 석유를 운송하여 저장하고 활용하는 방법이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른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것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이다.

동일한 전력을 발생하는 수력발전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화력 발전소 몇배의 면적이 요구된다. 태양광/풍력 발전은 지리적인 특성탓에 지속적인 전기를 발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의 공간 또한 어마하게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서는 탄소제로화,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무언가를 사용해야 한다. 

그린 프리미엄 = 현재를 탈피하고 안전하고 Clean한 것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

빌 게이츠는 현재를 바꾸기 위해서는 비용(단순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부담해야 하는)이 필요하고, 이를 '그린 프리미엄'이라고 정의했다.

이 책의 기조는 (대상 독자를 감안하면 충분히 그럴 수 있지만) 그린 프리미엄을 전 지구적으로 기꺼이 지불해야 한다라고 설파하고 조만간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탄소세 같은 부분들을 도입하려 하겠지만, 석유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180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배출한 탄소 양으로 놓고 보면 현재의 패권국들이 상위 순위에 있을텐데, 이제와서 탄소 배출이 문제가 있으니, 전 세계가 새롭게 그린프리미엄을 지불하는데 공평하게 동참해야 한다는 것은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책 전반적으로, 탄소 배출관련 Fact들을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였고 이에 따른 대안들도 현실적으로 제시하였다. 기후 변화와 그 대안들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생각을 정리하기 도움이 되는 책.

 

사하라사막 이남의 아프리카는 집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전체 인구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서비스'가 어떻게 가능해졌는가를 생각해보면, 우리는 이 모든 것들에 대해 더 고마움을 느낄 것이다.  이 모든 것을 포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미래에 제로 탄소 전기를 만들어내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지 간에,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것 만큼이나 신뢰할 수 있고 저렴해야 한다.

수력전기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점 또한 크다. 수력발전에 필요한 저수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역 사회와 야생동물이 터전을 잃는다. 화석연료는 이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석탄, 석유, 또는 천연 가스를 땅에서 캐내 멀리 떨어진 발전소로 옮긴 뒤 태워서 물을 끓이는 데 사용하고, 여기서 나오는 증기로 터빈을 작동시켜 전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화석연료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증가한 전기 수요를 충족한 것이다.

전기의 그린 프리미엄이 높은 가장 큰 이유는 저렴한 석유와 비싼 송전선이 아니다. 가장 큰 이유는 안정성에 대한 우리의 요구와 간헐성의 저주이다.  햇빛과 바람은 간헐적이다. 해와 바람은 하루 24시간, 365일 내내 전기를 생산하지 못한다. 계절적 간헐성과 높은 저장 비용은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킨다.

고기는 인류 문화에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세계의 많은 지역, 심지어 고기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고기를 먹는 것은 축제와 행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유네스코 홈페이지에 따르면 "미식 문화는 유대감, 식사의 즐거움, 인간과 자연 생산물 사이의 균형을 강조한다"

가장 중요한 해결책은 우리의 행동을 바꾸는 것이다. 즉, 우리가 가진 것을 더 잘 활용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기술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우리는 많은 아이디어가 결국 실패할 것임을 알면서도 어찌 되었든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험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 많은 동력을 얻기 위해 비행기는 더 무거워져야 하는데,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이륙도 할 수 없을 만큼 무거워질 것이다. 컨테이너선이나 비행기처럼 자동차보다 더 무거운 것들을 움직일때, 운송 수단이 크고 재충전 없이 더 멀리 운전할수록, 그것을 움직이는 동력원으로 전기는 괜찮은 선택지가 되기 어렵다.

교통 및 운송과 관련된 제로 탄소 미래는 이렇게 요약할 수 있다. 할 수 있는 한 모든 자동차를 전기화하라. 그리고 나머지 교통 및 운송 수단에 대해서는 저렴한 대체 연료를 마련하라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  (0) 2021.10.01
지브리의 천재들  (0) 2021.04.04
선비, 사무라이 사회를 관찰하다  (0) 2021.02.13
[#13] 베조노믹스  (0) 2020.11.30
[#12] No Rules Rules  (0) 2020.11.16